-
데이터 베이스 정의 및 사용(MongoDB, Studio 3T)스파르타코딩/스파르타코딩 3주차 2022. 6. 6. 14:40
*참고 : robo 3T 가 Studio 3T로 통합되었다. *
*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 *
SQL 과 NOSQL(not only sql)
SQL 은 엑셀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미리 양식을 준비해두고 그곳에 데이터들을 정리한다고 생각하면된다.
NOSQL 은 그러한 어떤 양식이 없이 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들면 SQL은 학생/이메일/연락처/주소 등과 같이 미리 쌓아놓을 데이터의 양식을 정하는 것이고,
NOSQL은 A학생은 오늘 12시에 등교했다. C학생은 3일 연속 조퇴를 했다. 등과 같이 형식 없이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SQL은 굉장히 일관적이고, 데이터를 분석하기 빠르다.
NOSQL은 스타트업(초기에 데이터의 수정 및 등록이 자주 일어나며 변칙적임)에서 많이 사용됨
SQL 대표 (My-SQL, Oracle, MS-SQL) , NOSQL 대표 (MongoDB)
이렇게 쌓아놓은 데이터들을 우리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그러한 프로그램들중 하나가 Studio-3T이다.
'스파르타코딩 > 스파르타코딩 3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mongo 사용 (insert, find, update, delete) (0) 2022.06.06 pymongo(라이브러리) 설치 (0) 2022.06.06 크롤링 QUIZ - 네이버 영화 평점(API) (0) 2022.05.31 requests 패키지 사용해보기 (0) 2022.05.31 PyCharm 가상 환경 추가(패키지 추가) (0) 2022.05.31